청년도약계좌 최대 적립 금액과 2025년에 달라진 점 알아보기

청년도약계좌 최대 적립 금액과 2025년에 달라진 점 알아봅니다. 정부는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으로 청년도약계좌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자산을 형성하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금융 상품으로 2025년에는 5년 간 최대 70만원 적립으로 5천만원의 목돈 마련이 가능한 저축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최대 적립 금액과 2025년에 달라진 점 알아보기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에서 34세까지의 청년들이 가입할 수 있는 저축 계좌로, 정부가 일정 금액을 지원해 주는 저축 제도입니다.

가입대상은 개인소득이 직전 년도의 총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이며,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180%이하어야 합니다.

※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기여금(공공재정지급금)이 지급되는 상품으로, 거짓된 정보로 부정청구를 하는 경우 「공공재정환수법」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환수되며 제재부가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가입제외

  • 소득이 없거나 국세청을 통해 소득을 증명할 수 없는 자
  • 과거 3년 중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 청년희망적금 가입자 (적금 만기 또는 중도해지 후 가입 가능)

최대 정부 기여금액

청년도약계좌는 월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습니다. 납입한 금액에 대해 소득별로 정부가 일정 금액을 기여하게 되며 소득이 연 2400만원 이하라면 월 최대 33,000원을 기여받을 수 있습니다.

※ 단, 육아휴직급여(육아휴직수당) 또는 군장병급여만 있는 자는 총급여 기준으로 정부기여금 지급비율을 산정되며 청년도약계좌 재가입자는 조정비율(=(60개월-기가입기간)/60개월)이 적용되어 정부기여금 지급비율이 재산정됨

청년도약계좌 정책 안내 페이지

https://opcl.kr/policy-details/TtJMMJQBGedfapFablx3/#

2025 청년도약계좌 달리진 점

2025년부터 청년도약계좌는 여러 가지 달라진 점이 있습니다. 가장 큰 변화는 정부의 기여금 지원 확대와 중도해지 시 불이익 축소입니다. 또한, 신용점수 가점 부여와 부분인출 서비스 도입도 큰 변화로 꼽힙니다. 아래 자세히 설명드립니다.

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 지원 확대

개인 소득 (총급여액)월 최대 기여금 (기존)월 최대 기여금(변경)
2,400만 원 이하24,000원33,000원(+ 9,000원)
2,400만 원 초과 ~ 3,600만 원 이하23,000원29,000원(+ 6,000원)
3,600만 원 초과 ~ 4,800만 원 이하22,000원25,000원(+ 3,000원)
4,800만 원 초과 ~ 6,000만 원 이하21,000원21,000원

2025년부터 청년도약계좌 달라진점 중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정부 기여금이 늘어난다는 것입니다. 정부 기여금이 소득 수준에 따라 최대 33,000원까지 더 많은 금액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존에는 기여금 매칭한도를 초과한 납입분에는 기여금을 미지급했다면, 2025년부터는 납입한 만큼 기여금을 전부 지급하도록 변경된것도 달라진 점입니다.

이를 통해 기존이 연 최대 8.87%의 일반적금상품 가입 효과가 있었다면 올해부터는 연 최대 9.54%의 일반적금상품 가입 효과가 있게 됩니다.

중도해지 시 불이익 감소

유지 기간기존 정책2025년 개선안
3년 미만비과세 없음, 기여금 반환동일
3년 이상비과세 없음, 기여금 반환비과제 유지 & 기여금 60% 유지

* 특별중도해지 사유 시 기여금 혜택 유지 가능

청년도약계좌의 달라진점 두번째는 기존에 5년 만기 전에 청년도약계좌를 중도 해지하면 비과세 혜택이 사라졌는데. 2025년 부터는 3년 이상 유지한 경우 기여금의 60%를 유지하여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할 경우 작년과 올해 동일하게 기여금 혜택을 유지할 수도 있습니다. 특별중도해지 사유로는 생애최초 주택구입, 퇴직, 혼인, 출산(배우자의 출산 포함), 사업장의 폐업 등의 사유가 인정됩니다.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부여

2025년부터는 청년도약계좌를 2년 이상 유지하면서 800만 원 이상 납입하면 신용점수가 자동으로 상승합니다. 기존에청년도약계좌 납입이 신용점수에 영향을 주지 않았습니다.

2025년에는 KCB, NICE 등 주요 신용평가사에서 가점을 반영하며, 최소 5점 ~ 최대 10점이 반영되어 청년들이 금융 거래를 할 때 유리한 조건을 갖출 수 있도록 합니다.

부분인출 서비스 도입

2025년부터 청년도약계좌의 부분 인출도 가능해졌습니다. 기존에는 중도해지해야만 돈을 찾을 수 있었지만 이제는 납입금의 40% 이내에서 인출할 수 있습니다. 부분인출이 가능해져서 갑작스럽게 돈이 필요한 상황에 청년도약계좌를 해지하지 않고 일부 금액을 인출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상입니다.

[다른글]

https://vayag.com/신용-점수-하락-이유

Leave a Comment

Comments

No comments yet. Why don’t you start the discussion?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