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 점수란? 신용 점수 등급과 신용 점수 조회 방법 알아보기

신용 점수 등급과 신용 점수 조회 방법 알아보세요. 신용 점수는 금융기관에서 개인의 신용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표입니다. 과거에는 신용 등급제로 운영되었으나, 2021년부터 신용 점수제로 변경되었습니다. 이제는 신용 등급 대신 1점부터 1,000점까지의 점수로 평가되며, 이 점수를 기준으로 대출 승인 여부나 신용카드 발급 가능 여부가 결정됩니다.

신용 점수란? 신용 점수 등급과 신용 점수 조회 방법 알아보기

신용 점수란 무엇인가?

신용 점수는 개인의 신용도를 평가하기 위해 신용평가기관에서 산정하는 점수입니다. 과거 금융 거래 이력을 기반으로 연체 여부, 부채 수준, 신용 거래 기간 등의 다양한 요소를 종합하여 결정됩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나이스평가정보(NICE), 코리아크레딧뷰로(KCB, 올크레딧), SCI평가정보 등의 기관에서 신용 점수를 평가하고 있으며, 각 기관마다 세부적인 산정 방식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전반적인 기준은 유사합니다.

과거에는 개인의 신용도를 평가할 때 신용 등급제가 사용되었으나, 등급별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기관마다 평가 기준이 달라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2021년부터 신용 점수제가 도입되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정밀한 신용 평가가 가능해졌습니다.

신용 점수 조회 방법

한때는 신용 점수를 조회하는 것만으로도 신용도가 하락할 수 있다는 오해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2011년 10월 이후 신용 조회가 신용 점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개정되었으며, 법적으로 연 3회까지 무료 조회가 가능합니다. 신용 점수를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사이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나이스평가정보(NICE) – 나이스지키미

https://www.credit.co.kr/ib20/mnu/BZWMAN00001

나이스지키미에서 신용 점수를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나이스지키미 공식 홈페이지 접속
  2. 메인 화면에서 “무료 신용 조회” 클릭
  3. “전 국민 무료 신용조회 신청” 선택 후 회원 로그인 (공인인증서 필요)
  4. 본인 인증 완료 후 신용 점수 확인

이와 같은 절차를 거치면 간편하게 자신의 신용 점수를 조회할 수 있으며, 신용 점수뿐만 아니라 대출 정보, 단기 카드대출 정보, 채무보증 정보, 신용조회 기록 등의 추가 정보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코리아크레딧뷰로(KCB) – 올크레딧

https://www.allcredit.co.kr

SCI평가정보 – 사이렌24

https://www.siren24.com

신용 점수 정정 방법

조회한 신용 점수가 실제와 다르거나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될 경우, 정정 청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정정 청구는 해당 신용 평가 기관을 통해 진행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20일 이내(공휴일 제외)에 결과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신용 점수 등급과 평가 기준

기존의 신용 등급제가 폐지되면서, 현재는 1점부터 1,000점까지의 점수제로 운영됩니다. 신용 평가 기관별로 신용 점수 구간이 약간씩 다를 수 있으며, 2025년 기준 KCB(올크레딧)과 NICE(마이크레딧)의 신용 점수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신용 등급KCB 신용 점수NICE 신용 점수
1등급942~1000900~1000
2등급891~941870~899
3등급832~890840~869
4등급768~831805~839
5등급698~767750~804
6등급630~697665~749
7등급530~629600~664
8등급454~529515~599
9등급335~453445~514
10등급0~3340~444

신용 점수 평가 기준

신용 점수는 크게 상환 이력, 부채 수준, 신용 거래 기간, 신용 거래 형태의 네 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평가됩니다.

  1. 상환 이력: 연체 횟수, 연체 기간, 연체 금액을 기준으로 평가됩니다. 특히 90일 이상의 장기 연체는 신용 점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2. 부채 수준: 신용카드 사용 금액, 대출 금액 및 상환 여부 등이 반영됩니다. 대출 상환 이력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고금리 대출이 많을 경우 점수 하락 요인이 됩니다.
  3. 신용 거래 기간: 카드 개설 시점, 대출 개설 시점 등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금융 거래 기간이 길수록 긍정적인 평가를 받습니다.
  4. 신용 거래 형태: 대출 금리, 대출 기관, 신용카드 이용 패턴 등을 분석하여 평가됩니다. 안정적인 금융사에서 거래할수록 신용 점수에 유리합니다.

KCB와 NICE의 평가 비중을 비교하면, KCB는 부채 수준(28%)과 신용 거래 형태(33%)를 중시하는 반면, NICE는 상환 이력(37%)과 신용 거래 형태(28%)를 중요하게 평가하는 차이가 있습니다.

신용 점수 관리 방법

신용 점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관리 방법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연체 방지: 연체 기록이 남지 않도록 신용카드 결제일과 대출 상환일을 철저히 관리하세요.
  2. 과도한 대출 지양: 필요 이상의 대출을 받지 않고, 고금리 대출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신용 거래 이력 유지: 신용카드를 꾸준히 사용하고, 소액이라도 정상적으로 상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다중 대출 피하기: 단기간 내 여러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으면 신용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5. 주기적인 신용 점수 확인: 연 3회 무료 조회를 활용하여 자신의 신용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세요.

이상입니다.

[다른글]

https://vayag.com/한국은행-홈페이지

Leave a Comment

Comments

No comments yet. Why don’t you start the discussion?

답글 남기기